[Part3. Unit 25] 

패턴 138(~해야 돼요. [You have to]

~ 144(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~입니다. [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is])


패턴 138 ~해야 돼요. [You have to]

have to는 must와 거의 같은 뜻이죠. 그런데 회화체에서는 must보다는 have to를 더 많이 써요. 우리는 보통 have to보다는 must가 먼저 떠오르지만요...

1. 넌 저녁 식사를 마쳐야 돼.
★ You have to finish your supper.

2. 도서관에선 조용히 해야 돼.
★ You have to be quiet in the library.

3. 당신은 그녀의 소망들을 존중해야 합니다.
★ You have to respect her wishes.

4. 이 숙제를 금요일까지 끝내야 돼
★ You have to complete this assignment by Friday.

5. 아주 조심해야 합니다.

★ You have to be very careful.

패턴 139 ~하지 않아도 돼요. [You don't have to]

에서 알아본 have to의 반대 의미가 don't(doesn't) have to이죠. must의 부정을 mustn't나 not must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don't have to로 써야 돼요. must not은 ' ~하지 말아야 한다'는 강한 금지의 뜻이니 헷갈리지 마세요.

1. 너 오늘 그것 안 해도 돼.
★ You don't have to do it today.

2. 내 말에 찬성하지 않아도 돼.
★ You don't have to agree with me.

3. 우리랑 함께 가지 않아도 돼.
★ You don't have to come with us.

4. 오늘까지 이것을 끝내지 않아도 됩니다.
★ You don't have to finish this today.

5. 네가 원하지 않으면 말 안 해도 돼.

★ You don't have to tell me if you don't want to.

패턴 140 ~해야 할 거에요. [You'll have to]

have to에 미래를 나타내는 will이 들어간 형태랍니다. 그렇다면 You have to...의 과거형은 뭘까요? You had to...겠지요. 따라서 I had to go there는 '난 그곳에 가야만 했어'라는 의미가 된답니다.

1. 나를 좀 봐줘야 할 거야.
★ You'll have to excuse me.

2. 연락을 유지해야 할 거야.
★ You'll have to keep in touch.

3. 11시까지는 돌아와야 할 거에요.
★ You'll have to be back by eleven.

4. 넌 다른 일거리를 하나 더 찾아야 될 거야.
★ You'll have to find another job.

5. 당신은 그 사실을 인정해야 할 겁니다.

★ You'll have to accept the truth.

패턴 141 ~해야 돼요. [You've got to]

have got to는 영국이나 호주에서 아주 많이 쓰는 데 반해 have to는 미국식 영어이죠. 의미는 물론 같고요 영국 영어권을 여행하면 I've got to...또는 You've got to...란 말을 아주 많이 들을 거에요.

1. 너 거기 어딘가에서 시작해야 돼
★ You've got to start somewhere.

2. 당신은 스스로 몸 관리를 잘하셔야 돼요
★ You've got to look after yourself.

3. 절 믿으셔야 합니다
★ You've got to trust me.

4. 이게 틀리다는 것을 알아야 해요
★ You've got to know this is wrong.

5. 잠시 진정하셔야 돼요

★ you've got to take it easy for a while.

패턴 142 내가 ~해야 되나요? [Do I have to]

have to를 이용한 의문문이죠? 야각ㄴ은 하기 싫은 마음이 드는 상태에서 해야 하냐고 물어볼 때 써요. 가령, 심부름 해야할 때 말이죠.

1. 나 오늘 학교 가야 돼?
★ Do I have to go to school today?

2. 바닥을 닦아야 합니까?
★ Do I have to mop the floor?

3. 제가 아침을 지어야 하나요?
★ Do I have to make breakfast?

4. 내가 개랑 산책을 해야 돼?
★ Do I have to walk the dog?

5. 이걸 또 들어야 됩니까?

★ Do I have to listen to this again?

패턴 143 내가 ~하려면 뭘 해야 돼요? [What do I have to]

Do I have to...?패턴 앞에 의문사 what이 있지요? 이것은 약간은 고급스런 토론식 패턴으로 'have to + 동사' 다음에는 ' to + 동사의 '원형'이나 '절'이 옵니다.

1. 네게 확신을 주려면 내가 무슨 말을 해야 되지?
★ What do I have to say to convince you?

2. 너에 대한 나의 사랑을 증명하려면 내가 도대체 뭘 해야되니?
★ What do I have to do to prove my love to you?

3. 사무실에서 나가기 전에 내가 뭘 해야 되지?
★ What do I have to do before I can leave the office?

4. 이 수업을 이수하려면 내가 뭘 해야 되지?
★ What do I have to do in order to pass this class?

5. 밖에 나가려면 그 전에 내가 뭘 해야 되나요?

★ What do I have to before I can go out?

패턴 144 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~입니다. [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is]

하루가 되었던 일년이 되었던 본인 생각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first thing이죠. 그래서 어떤 사람이 the first thing I have to do tomorrow morning이라고 말하면 '아침에 내가 가장 먼저 해야 할일은 ~이야'가 되는 거에요.

1. 우리가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지도를 사는 거야
★ 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is buy a map.

2. 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
★ 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is come up with a plan.

3. 우리가 첫 번쨰로 해야 할 일은 초대장을 보내는 일이죠
★ 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is send the invitations.

4. 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오래된 페인트칠을 벗겨내는 일이에요
★ 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is chip off the old paint.

5. 우리가 첫 번째로 해야 할 것은 쇼핑할 목록을 작성하는 것입니다

★ 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is make a shopping list.



이 포스팅은 영어회화 핵심패턴 233 교재의 Unit 2r(패턴 138 ~ 패턴 144)대한 학습노트입니다.

Posted by 이성윤

[Part3. Unit 24] 

패턴 130(~해 봐야 돼요. [You should try to]

~ 137(내가 무엇을 ~해야 하지요? [What should I])


패턴 130 ~해 봐야 돼요. [You should try to]

잘 될지 어떨지는 모르겠으나 친구에게 한번 해봐야 한다고 약간은 강제성을 띤 권유를 할 때 쓰면 좋은 패턴이죠. 그런데 여기서 You must try to... 라고 하념 닝것은 '~안 하면 죽어'라는 의미가 돼요. 이게 바로 should와 must의 차이점이랍니다.

1. 좀 쉬었다 해보도록 해.
★ You should try to take some time off.

2. 넌 좀 더 조심을 하도록 해야 돼.
★ You should try to be more careful.

3. 넌 최선을 다하려고 해야 돼.
★ You should try to do your best.

4. 너는 내 말이 뭐지 이해하려고 해야 돼.
★ You should try to understand my point of view.

5. 당신은 제시간에 과제물을 끝내려고 해야 돼요.

★ You should try to complete your assignment on time.

패턴 131 아마 우리 ~해야 할걸요. [Maybe we should]

maybe는 '아마'라는 뜻이 있지요. 부사이기 떄문에 should다음에나 문장의 맨 뒤에 놓아도 돼요. 무엇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약간 자신이 없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이죠.

1. 아마 우린 기다려야 할 거야.
★ Maybe we should wait.

2. 우리는 우리의 선택을 잘 살펴봐야 될 거야.
★ Maybe we should explore our options.

3. 우리의 결정을 다시 생각해 봐야 할 거에요.
★ Maybe we should reconsider our decision.

4. 우린 아마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거에요.
★ Maybe we should get some professional help.

5. 우린 아마 여행을 가야 할 겁니다.

★ Maybe we should take a trip.

패턴 132 ~인지 봐야 돼요. [You should see if]

패턴 속에 if가 들어가면 대개 ' ~하면'이란 뜻이 되지만, 여기서의 if는 다르지요. '~하는지' 또는 '~인지'란 뜻으로 이해해야 돼요.

1. 표가 있는지 알아봐야 돼.
★ You should see if there are tickets available.

2. 네 오빠가 찬성하는지 봐야 돼.
★ You should see if your brother agrees.

3. 페인트칠한 게 다 말랐는지 한번 봐.
★ You should see if the paint is dry.

4. 재미있는 영화를 하는지 네가 한번 알아봐.
★ You should see if there are any good movies playing.

5. 네가 좀 쉴 수 있는지 알아봐.

★ You should see if you could get some time off.

패턴 133 당신은 ~도 알아야 해요. [You should also know]

You should패턴에 '또한'이라는 의미를 지닌 also가 뒤따라 와서 '넌 ~도 알아야 해'라는 뜻을 가진 패턴이 된 거랍니다.

1. 너는 그녀가 너에 대해서 말한 것도 알아야 돼.
★ You should also know what she said about you.

2. 너는 다음 번 과제물에 대해서도 알아야 돼.
★ You should also know about upcoming assignments.

3. 이 정보가 기밀이라는 사실도 너는 알아야 돼.
★ You should also know that this information is confidential.

4. 그 사람이 너를 믿는다는 사실도 넌 알아야 돼.
★ You should also know that he trusts you.

5. 그녀가 너를 술배한다는 사실도 넌 알아야 돼.

★ You should also know that she admires you.

패턴 134 ~하지 말아야 돼요. [You shouldn't]

You should의 부정이죠. don't의 의미가 강하답니다. 친구 사이에 약간 훈계조로 말하거나 부모가 아이에게 금지 명령을 내릴 때 쓸 수 있죠.

1. 너 그렇게 생각하면 안 된다.
★ You shouldn't feel that way.

2. 코트 입지 않고 나가면 안 돼.
★ You shouldn't go out without a coat.

3. 그거 신경 쓰지 마세요.
★ You shouldn't let it bother you.

4. 과속하지 마세요.
★ You shouldn't drive so fast.

5. 그 사람 말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아요.

★ You shouldn't take him seriously.

패턴 135 당신이 ~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/ ~하지 말아요. [I don't think you should]

앞에서 다룬 You shouldn't...는 강하게 ' ~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'이고, 이 패턴은 ' ~하지 말라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'이죠. think가 들어갔으므로 생각이나 의견을 말하는 것이에요.

1. 난 네가 이 마을을 떠나야 한다고 생각지 않아.
★ I don't think you should leave town.

2. 그 사람하고 데이트하지 말아요.
★ I don't think you should go out with him.

3. 돈 그렇게 말이 쓰지 마세요.
★ I don't think you should spend so much money.

4. 밤에 혼자 걷지 마세요.
★ I don't think you should walk alone at night.

5. 그 사람 말 심각하게 여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.

★ I dont' think you should take him seriously.

패턴 136 ~해야 했어요. [You should have]

You should have 다음에 p.p가 등장하는 이 패턴 많이 보았죠? 무엇을 해야 했는데 결국 하지 않았다. 몰랐다 등과 같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.

1. 이렇게 될 줄 알아야 했는데 말이야.
★ You should have known this would happen.

2. 넌 좀 더 생각을 해야 했어.
★ You should have given it more thought.

3. 넌 나랑 와야 했는데.
★ You should have some with me.

4. 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당신이 봐야 했어요.
★ You should have seen what happened.

5. 내 충고를 들어야 했어.

★ You should have listened ti my advice.

패턴 137 내가 무엇을 ~해야 하지요? [What should I]

'무엇'의 의미인 what과 I should가 만난 패턴이에요. 물론 의문문이니까 should I로 바뀐 것이지요. should는 must의 의미가 담신 '~해야 한다'라는 것 다 아시죠?

1. 춤추러 갈 때 뭘 입어야 할까?
★ What should I wear to the dance?

2. 그 파티에 뭘 가져가야 하지?
★ What should I bring to the party?

3. 뭘 해야 하지?
★ What should I do?

4. 내가 뭘 가져와야 하나요?
★ What should I bring with me?

5. 그녀에게 뭘 줘야 하지?

★ What should I give her?



이 포스팅은 영어회화 핵심패턴 233 교재의 Unit 24(패턴 130 ~ 패턴 137)대한 학습노트입니다.

Posted by 이성윤

[Part3. Unit 23] 

패턴 122(~하지 못해서 미안해요. [Sorry for not]

~ 129(~하지 않으면 후회하게 될 거에요. [You will be sorry if you don't])


패턴 122 ~하지 못해서 미안해요. [Sorry for not]

전치가 for 다음에는 보통 showing, coming등과 같이 동사의 -ing형이 오는데 여기서는 not을 붙여서 부정이 되었죠? 이메일을 쓸 때 Sorry for writing very often이라고 하면 '편지를 자주 쓰지 못해서 미안해'라는 말이 돼요.

1. 제때에 오지 못해서 죄송합니다.
★ Sorry for not being on time.

2. 전화 못해서 미안해.
★ Sorry for not calling.

3. 약속을 지키지 못해서 죄송해요.
★ Sorry for not keeping my promise.

4. 차로 데리러 가지 않아서 미안합니다.
★ Sorry for not picking you up.

5. 당신 생일을 잊어버려서 미안해요.

★ Sorry for not remembering your birthday.

패턴 123 ~할 수 없어서 미안해요. [I'm sorry I can't]

아주 쉽죠? 그렇다면 I'm sorry I couldn't...는 무슨 말일까요?  그래요. can의 과거가 could이므로 '지난번에 ~할 수 없었던 것에 대해서 미안하다'는 말이죠.

1. 도와주지 못해서 죄송합니다.
★ I'm sorry I can't help you.

2. 당신과 함께 갈 수 없어서 죄송해요.
★ I'm sorry I can't go with you.

3. 이번 주말에 일을 할 수 없어서 미안합니다.
★ I'm sorry I can't work this weekend.

4. 당신 콘서트에 갈 수 없어서 죄송해요.
★ I'm sorry I can't go to your concert.

5. 더 줄 수 없어서 미안해.

★ I'm sorry I can't give you more.

패턴 124 ~하지 않아서 미안해요. [I'm sorry I didn't]

can't는 '사정상 할 수 없다'는 말이고, didn't는 '본인의 의지로 하지 않았다'라는 뜻이죠. 그러므로 이 패턴은 집안일을 하지 않아서,  공부를 하지 않아서, 운전 연습을 하지 않아서 등등. 그래서 미안하다는 말을 하고 싶을 때 쓰면 좋아요.

1. 네 말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아서 미안해.
★ I'm sorry I didn't take you seriously.

2. 명령을 따르지 않아서 죄송합니다.
★ I'm sorry I didn't follow your order.

3. 숙제를 다 끝내지 못해서 미안합니다.
★ I'm sorry I didn't finish my homework.

4. 파티에 너를 초대하지 않아서 미안해
★ I'm sorry I didn't invite you to the party.

5. 좀 더 집중을 하지 않아서 죄송합니다.

★ I'm sorry I didn't pay more attention.

패턴 125 내가 ~했다면 정말 미안해요. [I'm sorry if I]

조건을 나타내는 if가 등장했죠? if 다음에는 보통 과거의 일이 쓰여 '아마 ~한 것에 대해 미안하다'고 사과하는 것이랍니다.

1. 제가 너무 오래 걸렸다면 정말 죄송합니다.
★ I'm sorry if I took too long.

2. 제가 당신을 열 받게 했다면 정말 미안합니다.
★ I'm sorry if I offened you.

3. 맘을 상하게 했다면 정말 죄송합니다.
★ I'm sorry if I hurt you.

4. 실망시켜 드렸다면 정말 죄송합니다.
★ I'm sorry if I let you down.

5. 제가 이걸 망쳤다면 정말 죄송해요.

★ I'm sorry if I ruined this for you.

패턴 126 ~해서 미안하게 생각해요 / ~해서 안됐어요. [I feel sorry for]

사실 이 패턴은 I am sorry for...와 같은 뜻이지만 말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서 I am sorry...대신에 I feel sorry...로 표현할 수 있지요.

1. 너 안됐다!
★ I feel sorry for you!

2. 노숙자들이 안됐어.
★ I feel sorry for the homeless.

3. 화재 희생자들이 안됐어.
★ I feel sorry for burn victims.

4. 그 사람 안됐어.
★ I feel sorry for him. 

5. 그녀의 가족들이 안됐어.

★ I feel sorry for her family.

패턴 127 ~라니 안타깝네요. [I am sorry to hear that]

어느 누군가에게 안 좋은 일이 있음을 알게 되었을 때 쓰는 패턴이랍니다. 상황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'마음이 아프다', '유감이다' '섭섭하다' 정도로 이해하면 되죠.

1. 직장을 잃었다니 안타깝네요.
★ I am sorry to hear that you lost your job.

2. 할아버님께서 돌아가셨더니 마음이 아픕니다.
★ I am sorry to hear that grandfather passed away.

3. 아프셨다니 제 마음이 아프네요.
★ I am sorry to hear that you have been ill.

4. 이사를 가신다니 섭섭해요
★ I am sorry to hear that you are leaving town.

5. 파티가 재미없었다니 유감입니다

★ I am sorry to hear that you didn't enjoy the party.

패턴 128 ~라고 말씀드리게 되어 유감입니다. [I am sorry to say that]

사소하게는 친구에게 섭섭한 말을 할 때부터 크게는 직원을 해고할 때까지 쓸 수 있는 패턴으로 I am sorry to tell you.. 로 바꾸어 써도 되지요.

1. 시험에 떨어졌다는 것을 알리게 되어 유감입니다.
★ I am sorry to say that you failed the test.

2. 당신이 틀렸다고 말하게 되어 유감입니다.
★ I am sorry to say that you are wrong.

3. 낙방을 알려 드리게 되어 유감입니다.
★ I am sorry to say that you didn’t get accepted.

4. 좋지 않은 소식이 있다고 말하게 되어 죄송합니다.
★ I am sorry to say that I have some bad news.

5. 그 사람이 당신에게 거짓말했다는 사실을 알려 드리게 되어 유감입니다.

★ I am sorry to say that he lied to you.

패턴 129 ~하지 않으면 후회하게 될 거에요.  [you will be sorry if you don't]

직역을 하면 '~네가 ~하지 않는다면 넌 미안해 할 구야'라는 말이죠. 약간 어려울 수도 있는 패턴이지만 알아 두면 약이 됩니다.

1. 너 내 말을 듣는 게 좋을 듯 싶다.
★ you will be sorry if you don't listen to me

2. 제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후회할 겁니다.
★ you will be sorry if you don't take my advice.

3. 돈을 저축하는 게 좋을 듯 싶어요.
★ you will be sorry if you don't save your money.

4. 시험에 떨어지면 후회할 거야.
★ you will be sorry if you don't pass the test.

5. 다시 기회를 잡지 않으면 후회할 거야.

★ you will be sorry if you don't get another chance.


이 포스팅은 영어회화 핵심패턴 233 교재의 Unit 22(패턴 122 ~ 패턴 129)대한 학습노트입니다.


Posted by 이성윤